Posts

Oct 22, 2022

i-switched-job

블로그 공백 8개월 간 있었던 일 - 이직

Jan 19, 2022

새해 새글

새해엔 작년 회고지요.

Dec 18, 2021

Cs2

시작하며

Nov 28, 2021

Cs

9월 어느날, 왜 CS를 면접 때 물어보는지 정말로 깨달았다. 여러 문제를 접하면서 지식의 파편은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구조화 되지 않았고 서로 연결되지 않아 어느 순간부터 답답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Aug 14, 2021

간만의 일기

새로운 일터에서는 매주마다 TIL스러운 일기를 남기고 있다. 처음엔 참 쓸 것도 많고 한장 한장 늘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이제 18주가 넘어가니 슬슬 회사에선 익숙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신규 msa 서비스 일정이 다가오고 있어서 새로운 지식을 접할 여유가 없어지고 있다.

Jul 14, 2021

Why Numpy Fast Or Slow

추천 모델 연산에 행렬 곱셈이 많이 쓰이는데 참 신기하게도 사소한 코드에도 성능이 달라진다. 정확한 원리를 알고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2개월에 걸쳐 틈틈히 정리해놓았다. 보통 ML Engineer라면 이러한 성능 optimize는 관심이 있을텐데 생각보다 잘 정리된 글을 못 봐서 직접 만들어버렸다 😎

May 1, 2021

새 직장

처음 보는 환경에 적응하는 일은 크게 어렵진 않았다. 어릴 때 이사를 자주 다니다보니 적응하는 경험은 익숙하다.

Mar 24, 2021

매우매우정말피곤

3년 다닌 회사를 그만 두기로 했다. 그만 두면 정말 편안할 줄 알았다. 하지만 편안함은 요만큼이고 감정 소모만 잔뜩 늘어나 버렸다. 안 그래도 몸도 힘든데 마음도 지친다. 병원에 누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참 여러모로 좋지 않은 경험이다.

Feb 21, 2021

Http Server란

신입사원 교육을 하기 위해 web server를 공부했다. 너무너무 어려워서 그냥 import해서 써야하는 개념은 아니란 걸 나도 이제서야 알았다. 나처럼 오해하는 사람을 위해 쉽게 정리했다.

Feb 11, 2021

이제 회사 나이 4살

처음엔 크고 멋진 회사였지만 이젠 작고 볼품 없어 보인다. 많이 알수록 힘은 있지만 어깨는 무겁다. 명확하게 깨달은 것은 내가 본 세상이 아주 많이 작았다는 것이다. 애써 포장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밝히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임을 믿는다. 그저 올해가 되어 퀀텀리프의 도화선을 발견한 것이다. 지난 시간을 후회하는 약한 마음도 들지만 그땐 그것이 최선이었음을 안다.

Dec 23, 2020

Configure Elasticsearch Instance Type At Aws Eks

2020년에 kubernetes용 elasticsearch가 정식 출시됐다. eks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어떤 ec2 instance가 적합한지를 조사했는데 암만 찾아도 좋은 가이드는 없다. 찾다못해 직접 판단 기준을 세워보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려한다. (찾아서 안 나오는 걸 내가 글로 쓰는게 의미가 있지😎) 물론 나는 초보자이기 떄문에 이보다 좋은 접근법이 무조건 있을 것이다.

Dec 20, 2020

Jekyll Algolia 사용법

“jekyll algolia 사용법”을 검색해보면 minima theme에 _config.yaml을 수정하는 방법만 나와서 내부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찾아본 결과를 공유한다. (드디어 묵은 숙제를 건드렸다😎)

Nov 3, 2020

나의 아저씨(2018)

간만에 글

Sep 18, 2020

경쟁

사람이 가만히 있다보면 이런 저런 생각들이 스쳐지나기도 하고 뭔가 하고 싶어서 근질근질 거리기 마련인데, 내가 이럴 때 하는 건 꼭 ‘경쟁’적인 활동을 하더라. 누군가를 이기는 게임을 즐기고, 누구에게 뒤지지 않게 지식을 습득하고, 누구보다 잘하기 위해 연습하고… 이런 걸 하면서도 은근 압박이 느껴진다. 진정 편안한 상태는 이따금 경험할 수 있다.😑 약한 강박증이라고 이를 표현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Sep 5, 2020

Factfulness

재택근무 덕분에 시간 여유가 많아졌다. 보고 듣고 하는 것이 많아지면서 생활이 좋아진다. 이래서 워라벨워라벨 하는구나😁

Aug 30, 2020

바람의나라

바람의나라:연

Jul 25, 2020

시간이 참 빠르다

이제 벌써 8월이다. 올초부터 진행하는 프로젝트도 이제 끝이 보인다. 올해가 지나면 아마 거의 완성되지 않을까?😋 지금까지 얼마나 허술하게 했는지 깨닫고 완성도를 올리는데 여념이 없다. 왜 휴가 내고도 개발하는지 알 것 같다.

Jun 29, 2020

요즘 긍정적인 변화가

회사도 잘 다닌다. 일상적인 가족 식사를 할 수 있다는게 감사하다. 심지어 아직 젊고 쌩쌩 움직일 수 있는게 기쁘다.몸과 마음이 아주 평화롭다. 일도 잘 풀리는 것 같다. 아주 좋은 날의 연속이다.

Jun 19, 2020

Istio와 K8s Dashboard

한창 k8s cluster와 elasticsearch, queryhandler를 정비하고 있다. 대충 그림은 다 나왔고 이제 detail을 챙기면서 chaos test와 tps 측정을 거치면 끝날 것 같다. ingress로 istio를 쓰면서 나쁜 것 같진 않은데 k8s 기본 ingress와 참 달라서 힘들고, 인지도 대비 참조 문서량이 적다. 돌아보면 nginx가 제일 편하고 초보자 문서가 많다.

Jun 7, 2020

Reproducibility

k8s를 on premise로 설치하는 것 부터가 쉽지 않다. 😑 ha 구성하고 네트워크가 난관이라 여러번 깔고 지우고 하는데 reproducibility라는 개념이 참 중요하단 걸 또 다시 느꼈다.

Jun 3, 2020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생활 속 미운 녀석들을 보다가 문득 깨달은게 있다.

Jun 3, 2020

Prose.io Test

prose.io 연동은 매우 간단하다. 그냥 github 인증만 해주면 들어가서 바로 편집 가능하다. 약간의 편의성을 위해 _config.yml 내용만 추가하면 끝이다. 좋다. 편ㅡㅡ안 😁

Jun 3, 2020

Eks 대신 On Prem에서

원래 블로그의 취지는 기술적인 노하우를 정리하는 것이었으나 요즘은 하소연이 하고 싶은지 의식의 흐름대로 쓰게 되는구나.

May 26, 2020

요즘

머리가 잘 안 돈다… 왠지 멍한 것 같고 눈을 떠도 제대로 못 보고 좋은 생각도 떠오르지 않는다. 답답하구만.

May 10, 2020

벌써 5월이라니

그 좋다던 20대가 다 가고 반 년 남았다. 근데 난 가난하고 ㅈ도 모르는 20대보단 돈 있고 짬도 찬 30대가 더 좋은 시절이 아닐까 싶다.💲

Apr 24, 2020

Considering Backend Architecture

search service application architecture를 very seriously하게 study 하다보니 english가 편안할 지경이다. 아무나 내 고민좀 들어줬으면 좋겠다.

Apr 19, 2020

나는 Gopher

요새 검색 & 추천(은 coming soon) 서비스 개발 언어로 go를 쓰고 있다. 1도 모르는걸 꾸역꾸역 배워서 쓰는중 ㅋㅋ..

Mar 29, 2020

성과 Flex

flex할 거리가 생겼다 😉 19년 12월에 만든 추천 로직이 최근 ab test에서 좋은 성능을 냈다.

Mar 24, 2020

생각난 것

짧게 많이

Feb 28, 2020

모니터 짱짱

이제 제목을 자유 형식으로 써볼란다 👻

Feb 27, 2020

200227 Diary

어쩌다보니 backend 개발

Feb 16, 2020

Shell Dev Setup

shell 환경세팅

Feb 16, 2020

200216 Diary

ㅋㅋ

Feb 8, 2020

Eks Tips

축 dev 카테고리 신설 🥳

Feb 8, 2020

200208 Diary

오늘은 제목 없이, 주제 없이 막 쓰련다 😆

Feb 2, 2020

200202 Diary

벌써 1월이 다 갔다 😳…

Jan 21, 2020

200121 Diary

새해 2번째로 글을 쓰기 위해 앉았다. 😎
요즘 회사에선 시스템 cloud 이관을 위해 eks, rancher, elk만 보고 있으려니 수학 공부는 당분간 안할련다.ㅎㅎ

Jan 6, 2020

Data Science Lecture Note

vector

모든 data는 vector로 표현된다. vector는 물리학 개념으로 속력+방향을 뜻한다. 또한 (0,0)이라는 원점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 원점이 data를 연산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Jan 5, 2020

Data Science Lecture Note

function

non linear 함수를 찾는 법

대부분의 data가 non linear function으로 fitting 잘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이 function을 찾기 위해 미적분 개념이 필요하다. taylors expansion은 어떤 함수 $f(x)$를 미분할 줄 안다면 근사식을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Jan 5, 2020

200105 Diary

귀찮을땐 초심을 떠올리자

20년 첫 글이당 😎

Dec 22, 2019

Data Science Lecture Note

data science 개론

Dec 22, 2019

191222 Diary

깨달은 것

Dec 1, 2019

Data Science Lecture Note

distribution in statistics

Dec 1, 2019

191201 Diary

추워졌다

Nov 17, 2019

191117 Diary

자체휴강

Nov 10, 2019

Data Science Lecture Note

type 1 and type 2 errors

Oct 27, 2019

Data Science Lecture Note

attenutaed bias - 과소 추정

Oct 20, 2019

Recap Regression

데이터 사이언스 강의를 들으려는 찰나에 질문을 받아서 어쩔 수 없이 다시 공부한 회귀분석

Oct 12, 2019

191012 Diary

요즘은 회사에서 상품 profile을 만들고 이를 고객 profile에 활용하는 일을 하고 있다. 검색 엔진에서 transaction을 가지고 page ranking을 매기는 것처럼 유저별로 정밀하게 상품의 순위를 정할 수 있게 된다.

Sep 28, 2019

Data Science Lecture Note

데이터 사이언스 인강 완강하자

Sep 27, 2019

190927 Diary

IDG digital marketing 2019

Sep 15, 2019

190915 Diary

제주도 여행

Sep 8, 2019

Full Stack Data Scientist

FSDS

Sep 7, 2019

Web Analytics On My Blog

In celebration of the blog reorganization

Sep 7, 2019

Less Is More

blog title 뒷이야기

Sep 7, 2019

Airflow For Modeling

airflow in data science

Sep 7, 2019

190907 Diary

오늘 글을 3개를 몰아 썼는데, 답답함을 어떻게든 풀고 싶어서가 아닐까 싶다. 회사 일이 참 쉽지가 않다. 데이터 분석가는 수학, 현업, 코딩 3개를 다 잘 알아야 뭐가 돼도 되는건데 하나도 잘하는게 없다는 생각이 요즘 든다. 창 밖은 태풍 분다. 😑

Sep 1, 2019

Liquid In Markdown

markdown 안에 jinja2 코드 넣기

Aug 31, 2019

190831 Diary

잘 사는 것

Aug 23, 2019

Tech Debt

업무가 이상하게 바쁜 느낌?

Aug 15, 2019

Reorganize Blog

무엇가 글로 쓰는 것의 의미

Aug 3, 2019

Bayesian Mf

bayesian matrix factorization

Jul 21, 2019

Missing Days Log

현실의 데이터 사이언스는 아름답지 않았다.

Oct 20, 2018

Recommend System Fm(draft)

factorization machine

Oct 13, 2018

Manipulating Big Data

python memory efficiency (manipulating big data)

Sep 16, 2018

Understanding How To Use Xgboost

xgboost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했던 xgboost(v72) 알고리즘을 깊이 이해하고자 정리했다.

  • parameters
    • n_jobs/nthread: parallel computing
    • booster: gbtree/gblinear/dart
    • objective: reg:linear etc
    • tree specifing args: max_dept/min_child_weight
    • gamma: hessian sum threshold which determine tree spliting point
    • alpha: lasso regression parameter
    • lambda: ridge regression parameter
    • tree_method: hist, exact, gpu_hist
  • args
    • early_stop: eval_set/feval으로 num_boost_round validation 과정
    • eval_set: train/test set 설정
    • feval: eval_set에 적용할 metric
Sep 16, 2018

Pycharm Heap Memory

java virtual machine

Sep 13, 2018

Ubuntu Not Boot Grub

회사 서버에서 돌리기 어려운 소스를 돌리고자 개인노트북 LG그램에 virtualbox 사용하여 ubuntu를 오랫만에 설치. 이전에 본 적이 없는 검은 화면만 뜨고 gnome 화면이 안 뜬다. grub이라고 써있는 이 화면은 help말고 어떤 행동도 할 수 없게 만든다.

Aug 26, 2018

Python Fast Loop

Scheduling Optimization2

4월부터 시작한 쇼핑호스트 스케줄링 최적화 알고리즘은 얼추 개발이 끝난 상태이나, IT개발팀이 바쁜 관계로 현업에서 사용할 사내 프로그램에 올리지 못하고 있다. 그 덕분에 틈틈이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하여, 지금은 지난 달보다 훨씬 완성도가 높아졌다. 로직도 정교해지고, 최적화 과정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함수도 추가했다.

Jul 1, 2018

Similar Item Name Integration

이번 글은 정보 전달보다는 고민 토로가 주된 내용이다. 팀 과제는 TV홈쇼핑 방송 매출을 예측하는 것이다. 한달/하루 매출이 아니라 각 방송 시간마다 얼마가 나올지를. 그래서 시계열 모델을 쓰지 않고 있다.

Jun 16, 2018

Build Sales Simulator

요즘 예측 모델 + 시뮬레이터 UI를 만드는데 한창이다. 최근 몇 주간 건강이 좋지 않아 업무에 집중하지 못했는데, 이번 주는 예측 데이터 마트를 구축하느라 자잘한 이슈가 많아 두뇌가 강제로 활성화됐다. 그래서 지금 이 기록을 남겨야만 한다는 의무감이 든다.

May 20, 2018

Python simple etl using pandas

파이썬 쓰임새가 점차 넓어지다.

실전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면서 배워나가고 있는 만큼 깊이는 부족하지만 무엇을 하던 쉽게 해낼 수 있다는 것만큼은 확연히 느꼈다.

May 4, 2018

Scheduling optimization problem

최적화 문제를 처음 접하다.

첫 메인 업무로 받았지만 백그라운드가 전무했다. 2주 간 학습하며 최적화문제가 무엇인지, 어떤 개념으로 작동하는지, 어떻게 python으로 작성하는지를 내가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할 필요를 느꼈다.

Apr 29, 2018

첫 글 그리고 초심

오래 전부터 마음 먹었던 git blog. 드디어 해냈다. 매번 새로운 일의 시작은 더디고 힘들다. 돌이켜보면 어떤 일의 동기는 아주 작은 것으로부터 출발하나, 그 소박하고 순수했던 마음은 금방 잊혀지고 변하는 것 같다. 그래도 아직 변하지 않은 것은, 컴퓨터로 무언가 만들어내는 일은 즐겁다.

Apr 28, 2018

Kramdown 메뉴얼

NOTE: This markdown cheatsheet is a typography demo for this theme. Check out this post to learn more about this markdown usage when you want to get started with this theme. Enjoy!